'제 4회 디카시 백일장대회 시상식 성황리에 마쳐'

 

디카시 백일장대회 시상식

 

 

  2025년 2월 19일(수)오후 2시 명성문화예술센터에서 '제 4회 디카시 백일장대회' 시상식이 열렸다.

지난 3회에 이어서 이번  4회 째 디카시 백일장 대회 시상식에는 서울, 대전, 인천, 대구, 부산, 제주, 강원을 비롯하여 전국 각지에서 참석한 수상자들은 추운 날씨지만 서로 따뜻하게 인사를 나누며 수상의 기쁨을 누렸다.

 

  이날 행사의 사회는 박주이 관장(명성문화예술센터) 이 식순에 의해 박종래이사장의 대회사에 이어 성광웅(시인.소설가) 김종두(시인.수필가) 님이 축사를 했으며 시상자로 남궁유순(교정교열국장) 권대근(시인)님이 도움을 주셨다.  시상 순서로 장려상, 동상, 은상, 금상, 대상순으로 진행되었다

 

 

 명성문화센터 박종래이사장은 “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새로운 문학 장르로 떠오른 ‘디카시’의 새 지평을 열고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개최했으며, 앞으로 세계 최고의 글꼴 소리글인 우리 한글의 우수성과, 선명도가 뛰어난 세계 최고의 스마트폰 발명국인 한국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기 위하여 신명을 바치길 다짐한다“고 밝혔다.

 

이번 디카시에는 신진 작가들과 문학계 원로 작가들도 상당수 작품을 응모했는데 1차 예심을 통해 엄정한 심사과정으로 본심에 오른 127편 중 30편이 최종 수상작으로 결정됐다.

 

 

 올해 대상을 수상한 황용운시인은 수상소감에서 이번 작품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다며 해외 여행 중 사진촬영의 어려움을 전했다. 그리고 금상을 수상한 정숙영시인은 “모두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시기에 이렇게 뜻깊은 상을 타게 되어 기쁘고 영광스러우며 이 기쁨은 이 자리에 참석하신 모든 분들과 함께 나누겠으며 작품 ‘풍년예감’ 속 '눈'은 나라와 국민을 표명하는 자신만의 소통언어이며 아무리 나라가 어지러워도 우리 국민들의 올곧은 정신이 있는 한 대한민국의 미래는 밝게 빛난다” 소감과 함께 작품속 메시지를 전했다.

 

 김종억 작가는 사진작가, 수필가, 시인, 평론가로 활동하면서 금상을 수상하였는데 그 어느 장르보다 '디카시'가 매력적이며 이번 4번째 도전하게 되었다며 수상소감에서 앞으로도 대상을 탈 때까지 도전하겠다는 포부를 말하자 객석에 계신 모든 분들이 박수로 격려 해주었다 .

 

대상 수상자 황용운님에게는 상장과 트로피, 족자, 도록, 캘린더와 함께 상금 100만원이 주어졌다. 금상 수상자 정숙영ㆍ김종억작가와 은상 수상자. 김수연ㆍ귄장숙님에게는 상장과 트로피, 족자, 도록, 캘린더를 부상으로 받았다. 상금은 금상 수상자에게 각 30만원, 은상 수상자에게 각 10만원이 지급됐다.

 

 제주도에서 오신 박명희시인 (동상수상)과 부천에서 오신 조성국 작가는 시상식장에서 문인으로 처음 만나 반가운 인사를 나누기도 했다. 시상식이 끝난 후 박종래이사장과 함께 준비된 오찬을 나누며 새로운 문학 장르로 떠오르고 있는 디카시가 우리 문학사에 깊이 뿌리내려 한글을 전 세계에 알리는 계기를 마련하는 방법 등에 대해 소통하며 격려와 조언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대상 (황용운),  금상(정숙영. 김종억) ,은상(김수연,권장숙, 박종호)  동상(신현석,김창운, 김유조, 이지선, 정동욱, 박명희, 이신동, 김권곤.노익희, 장인원)

 장려상(백영웅, 김승, 라춘실, 강명숙, 강성남, 김철수, 채선정, 임명실, 천윤식, 최의용, 백가원, 양지연, 김희목, 조영미)

시상식장은 수상자들의 설렘과 디카시의 미래를 향한 열정으로 가득찬 분위기로 마무리 되었다

이외에도 열린시서울(공연) 임원진 강평자, 김정희, 김미희, 김주훈낭송가의 디카시 낭독과 축시낭송 및 동화구연으로 축제의 분위기가 펼쳐졌다

 

금상 정숙영시인의 작품을 낭독하는 김주훈낭송가

 

 

 

 



+ Recent posts